2월 14, 2015의 게시물 표시

WAN Port를 사용한 네트워크 구성시 유의사항

이미지
WAN Port를 사용한 네트워크 구성시 유의사항 요즘  저렴한 가격으로 구입 가능한 유/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간단한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. WAN, LAN포트에 대해 잘 이해하신다면.. 복잡한 구성이나 연결하였는데 잘 안되었던 상황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. 위의 사진에도 보이는 것처럼 “WAN”이라는 이름으로 표시가 되어있는 것이 WAN 포트가 되겠습니다. 일종의 업링크포트라고 하여..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받는 포트입니다. 인터넷 모뎀으로부터 나온 랜 선을 이곳에 꽂으면 됩니다. 이렇게 WAN 포트가 들어있는 장비를 저희는.. “공유기”라는 이름으로 부릅니다.  유선/유뮤선공유기~     반면에 LAN포트만 있는 장비는 허브(Hub)라고 부르죠.     이 포트가 있고 없고에 따라 구성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. 물론 WAN포트에 연결하지 않는다면 그냥 허브(Hub)로 사용하는 것이 됩니다. 이 포트를 기준으로 (만약 유/무선공유기에 연결을 하였다면)    옆에 있는 Lan포트들로 연결이 되거나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들은 내부망으로 구성 됩니다. 대개는 이런 식으로 연결을 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지만..  이 구성 아래에.. 다시 유선 혹은 유/무선 공유기를 [WAN-PORT]를 이용하여 연결한다면 다르게 말하자면..아래에 다시 내부망을 구성한다는 이야기와 같습니다.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 까요? 꽂는 거야 아래처럼 연결하면 되겠지만…     아래 연결한 유/무선공유기의 경우 GateWay IP를 위에 연결된 공유기와 다르게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. 만약 iptime공유기 제품이라면.. 모델과 종류에 상관없이 default로 설정된 GateWay ...